본문 바로가기

굿모닝:D 안종합/안구건조증| 눈을 촉촉하게

안구건조증 예방법

안구건조증 예방법


우리 주변을 보면 눈을 건조하게 만드는 환경입니다. 그래서 하루종일 안구건조증에 시달리면서도 특별히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우리가 익숙해져버린 안구건조증이 악화되면 시력의 질을 떨어뜨리고 각종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시행해보세요. 눈이 한결 편해질 거예요. 



 

각막의 산소 공급을 막는 콘택트렌즈의 사용을 줄여주세요. 써클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매우 낮으며 장시간 사용 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필요한 순간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소프트렌즈, 하드렌즈도 산소투과율이 높은 것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프트렌즈보다 하드렌즈가 눈 건강에 이롭습니다.


 

건조함을 느낄 때마다 잊지 않고 한 방울씩 톡톡 넣어주세요. 방부제가 없는 인공눈물은 많이 쓰셔도 무방하며 방부제가 있을 경우 하루 5~6방울을 점안해주세요. [ 인공눈물에 대한 오해 - 보기]


 

눈물막에는 3개의 층이 있습니다. 가장 아래는 점액층, 중간에는 수성층, 가장 위에는 지방층인데요. 지방층은 마이봄선이라는 샘에서 나온 기름 물질로 구성되며, 눈물이 빨리 증발하지 않도록 수성층을 코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등어, 연어, 견과류, 올리브유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이 눈물막의 지방층을 구성하는 기름물질의 생성을 도와줍니다. 


 

주변이 건조하면 눈도 그 영향을 받아 건조해지기 마련입니다. 봄, 가을과 같은 건조한 계절에도 주변 습도를 조절하여 건조함을 완화시킬 수 있는데요. 가습기나 젖은 빨래를 이용하여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해주세요. 


부산 서면 굿모닝성모안과

▼ 눈물이 많이 나는데 안구건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