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굿모닝:D 눈건강/외래진료| 믿음직한 치료

눈이 가렵고 퉁퉁 붓는다면? 알레르기성 결막염

 

자다가 일어나보지 갑자기 눈이 퉁퉁 부어 있고 가렵다면??

가을철 찾아오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결막염은 결막에 염증이 생겼다는 뜻이겠죠?

그럼 결막은 우리 눈의 어느 부분에 있을까요?

 

 

결막은 좁게 보면 우리가 흔히 흰자라고 부르는 곳이에요.

더 자세히 살펴보면 흰자위는 구결막,

눈꺼풀을 위로 당겼을 때 분홍빛이 도는 곳이 상안검결막, 아래가 하안검결막입니다.

 

감염성 결막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균에 의해 감염이 되는 데에 비해

비감염성 결막염은 면역이 부족하여 특정한 외부 요인에 의해 생긴답니다.

유행성 결막염은 감염성 결막염으로 전염되지만,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비감염성 결막염으로 전염이 되지 않는답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 가려움증이며

그와 함께 결막부종, 이물감, 눈곱, 통증,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려워서 계속 긁다가 증상이 더 심해진 채로 병원에 오는 환자분들이 많이 계신답니다.

만질수록 더 가렵고, 더 붓고, 더한 충혈이 생깁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치료하려면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해 결막염이 생기는지

알아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떤 것에 반응하는지 안다면 그것을 피하는 것이 제일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죠.

하지만 뚜렷하게 원인을 알 수 없을 때가 대부분이랍니다.

이때는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약물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점안제, 혈관수축 점안제 등이 있어요.

 

항히스타민제는 염증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가려움증, 충혈, 부종 증상들을 완화시켜 준답니다.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염증 조절 효과가 뛰어나지만 안압을 상승시켜 녹내장의 발병률을 높여요.

그렇기에 장기 사용은 권하지 않는답니다.

혈관수축 점안제는 가려움증과 부종을 완화시키는데, 항히스타민제와 함께 사용해요.

이유는 약물을 중지하면 결막염이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냉찜질은 가려움증과 부종을 완화시켜주지만

장시간 사용하면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니,

붓기가 가라앉고 가려움이 없어질 때까지만 사용해주세요~!

 

그냥 스치는 병이라고 생각하고 넘긴다면 시력저하를 일으키는 다른 질환이 생길 수도 있어요.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셔야 한답니다.

 

굿모닝성모안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생길 수 있는 모든 눈 질환을 치료해드립니다~!

믿을 수 있는 굿모닝성모안과로 가시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