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로운 아침을 여는 굿모닝 :D
'굿모닝 성모안과'입니다.
지난 시간 중에 D? 디옵터? 근시와 원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죠?
"근시와 원시"
굿모닝 성모안과의 바른 시력정보 '디옵터, 근시와 원시' 콘텐츠 → 보기
시력은 주관적, 디옵터는 객관적
눈이 좋고 나쁘고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수치가 디옵터 입니다.
즉, 내 눈이 얼마만큼 '근시'로써 잘 안 보이느냐,
혹, 내 눈이 얼마만큼 '원시'로서 잘 보이느냐,
그리고 그 얼마큼의 '디옵터'를 교정해야 내 눈은 잘 보이게 되느냐,
내 눈의, 망막의 상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게 되느냐,
이것이 시력교정술(라식라섹, 렌즈삽입술)이나 시력보조기구장치(안경, 렌즈)의 기본 원리입니다.
그런데 눈을 교정하기 위해, 시력을(디옵터)를 교정하기 위해 안경을 썼다고 하면,
안경의 렌즈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있겠지요?
그것이 바로 (-) 디옵터와 (+) 디옵터를 교정하는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결국은 '시력'이 아닌 이러한 '디옵터'의 정도에 따라,
즉 굴절력 이상의 정도에 따라서 렌즈가 결정이 되는 것인데요.
그리고 굴절력 조정을 통해 초점이 정확히 맞게 되어
'시력'이 좋게 되는 것이고요.
구분 상태 디옵터 사용렌즈 사유
근시 망막 앞에 상이 맺힘 - 오목렌즈 초점거리 증가
원시 망막 뒤에 상이 맺힘 + 볼록렌즈 초점거리 감소
굴절력 이상의 조절이 필요가 없는 상태인 '0' 디옵터에
가까울 수록 시력은 좋다고 할 수 있는 것이며,
-2.0D 라면 -2.0D 오목렌즈를, +2.0D라면 +2.0D 볼록렌즈의 착용을 통해
굴절력을 조정해 주었을 때에 망막에 정확하게 상이 맺을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초점 거리 계산법
디옵터는 M(미터) 단위의 초점거리의 역수로 표시한다고
콘텐츠의 서론 부분에서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말이 복잡할 뿐, 계산은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2디옵터라는 수치가 나왔다면 (+)이니까
원시이지요. 원시는 볼록렌즈가 필요하고요.
+2.0 디옵터에 해당하는 원시를 위한 볼록렌즈의
초점 거리는 1/2m , 즉 0.5m(50cm)가 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50cm(0.5m)에서 초점을 맺는
돋보기(볼록렌즈)가 있다고 하면, 돋보기 렌즈의
디옵터는 1/0.5 = 2 이니까 +2디옵터가 되는 것이지요.
굿모닝 성모안과는 정밀한 시력종합검진을 통한
정확한 시력교정술에서부터, 또한 망막센터에서는
다양한 망막질환의 진단과 치료까지,
'더 좋은 시력'을 위해 언제나 최선의 노력과 최신 장비 구축,
그리고 전문의료진이 언제나 더 많은 분들의 '굿모닝'을 기대합니다.
정확한 시력의 측정과, 내게 꼭 맞는 시력교정술은 굿모닝 성모안과와 상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