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으로 색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 알고 계시나요?
많은 사람들이 당연하게 색을 누리고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꽤 많답니다.
오늘은 색맹과 색약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여러분들은 위 그림의 숫자들이 잘 보이나요?
빛은 여러 파장의 혼합체인데,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입니다.
이 가시광선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색각'이라고 해요.
색맹과 색약은 시세포의 색소가 부족하여 색각에 이상이 생긴 상태입니다.
색각 이상은 망막의 원추세포에 있는 추체색소의 결핍이나 이상,
또는 망막과 시신경의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해요.
망막의 시세포에는
어두운 곳에서 희미한 빛을 감지하는 막대세포와 밝은 곳에서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있어요.
빨간색을 감지하는 적추체, 녹색을 감지하는 녹추체, 파랑색을 감지하는 청추체가 있는데
이들 색소에 결핍이 오면 색각 이상이 온답니다.
색각 이상의 정도에 따라 색맹과 색약으로 구분된답니다.
전색맹은 색을 전혀 구별하지 못하며 마치 흑백 tv를 보듯이 명암 정도만 식별 가능해요.
색약은 어느 정도 색을 식별할 수는 있지만 특정 색에 대한 식별이 정상보다 떨어집니다.
전색맹은 일색계, 부분 색맹은 이색계, 정상을 삼색계라고 해요.
세 가지 색의 빛을 혼합하면 모든 색이 얻어지는데
부분 색맹인 사람은 두 개의 색 혼합을 보며, 전색맹인 사람은 한 가지 색만 보기 때문입니다.
색약이 있다면 대부분 적색과 녹색에 대한 식별 능력이 떨어지는데,
적색약은 적색을 잘 구별하지 못하고, 녹색약인 사람은 녹색을 잘 구별하지 못해요.
밝은 곳에서 채도가 높은 색을 볼 때는 어느 정도 구분을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어두운 곳이나 먼 거리에 있는 채도가 낮은 색은 식별하기 힘들 수 있어요.
색맹과 색약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유전적인 색약은 원뿔세포 기능의 저하로 색 구분 능력이 떨어진 것입니다.
후천적인 색약은 망막이나 시신경 쪽에 질환이 있으면,
예를 들어 망막혈관질환, 망막이나 맥락막의 염증, 녹내장, 시신경염 등이 원인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완벽한 치료 방법이 없어서 색약의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
쉽게 넘길 수 있는 색맹과 색약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누구에게는 당연한 세상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아니에요.
다른 질환 때문에 색약이나 색맹이 있는 분들은 원인이 되는 병을 꼭 고치길 바랄게요.
이전보다 더 다채롭고 많은 것을 담고 있는 세상을 보는 게 얼마나 행복한지 꼭 누렸으면 좋겠어요.
금요일 마무리 잘 하시구 우리는 곧 다시 봐요~^^